랜덤 매칭 대기열 로직 작성 시 처음에는 Spring In-Memory Collection에 저장해두고 테스트를 진행했다. 완성 이후 서버 이중화 등을 고려했을 때 다른 저장소에 저장해두고 사용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성능 비교를 위해, RDB에 저장해두고 쓴 것과 Redis에 저장해두는 방식을 각각 제작해서 비교해보았다. RDB에는 단순히 관련 정보를 저장했다가 삭제하는 식으로 작성했고, Redis에서는 Redis 자료구조 중 Sorted Set을 이용하여 대기열을 구현하였다. Redis의 일반 List로 할 경우, 순서는 보장될 수 있지만 Redis의 List는 양쪽에서 LPOP,RPOP이 가능한 Deque 구조이기 때문에 일부 유저가 차단된 상황 등 대기열의 중간에서 특정 값을 빼야 하는 상황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