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아이디 중복 검사 API요청 로직을 구현하던 중, 처음엔 별 생각없이 isDuplicated 라는 Boolean타입으로 중복일 경우 true, 중복이 아닐 경우 false로 반환하도록 작성하였다.
단순히 논리적인 관점에서만 봤을 때 isDuplicated라는 이름으로 true, false를 반환하는 것은 나름대로 직관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런데 프론트단의 코드를 짜려고 보니 중복 확인을 한 결과가 true이면 생성이 불가능함을 안내해야 하는 상황에 뭔가 불편함이 느껴졌다.
물론 프론트에서도 변수명을 isDuplicated라는 이름으로 나타낸다면 제3자가 보고 해석하는 데 문제는 없겠지만, true인데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 아니라면 이렇게 작성하는 것이 옳은가에 대한 생각을 하게 되었다.
결국 변수를 중복 여부에 초점을 맞추지 않고 사용 가능한지에 초점을 맞춰서 isUsableId 같은 변수명으로 사용이 가능하면 true, 중복이라서 사용이 불가능하면 false를 나타내도록 변경했다.
이렇게 하고 보니 비속어나 validation에 맞지 않는 아이디를 유효성 검사 할 때에도 동일한 Response를 사용할 수 있어서 더 좋은 것 같다.
반응형
'프로젝트 > HI-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JPA-EmbeddidId, 복합 키에 대한 이야기 (11) | 2024.04.05 |
---|---|
JPA - findById (0) | 2024.03.27 |
개인 프로젝트) HI-SERVER 시작 (0) | 2023.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