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워밍업 기간에 VSCode로 웹 페이지를 만드는 과정에서 pip install할 때 발생했었던 문제와 비슷한 일이 Spring을 시작할 때 또 발생했다. 이번엔 프로그램 자체가 설치가 안된다거나 실행이 안 되는 건 아니었는데, @DisplayName에 한글을 적고 Run할 경우 한글이 깨지는 현상이었다.
현상에 대해 검색해보니 비슷한 상황에서의 해결책이 몇 가지 있었고, 그 중 하나를 적용하니 해결이 되긴 했다. 결국 해외와 우리나라의 표준 인코딩 방식이 다르기 때문인 건 알겠는데, 그렇다고 윈도우 환경인 모든 사람한테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도 아닌 것 같아서 좀 의아하긴 했다.
일단 지금까지 발생했던 에러들을 계속 해결하다 보니 알게 된 건데, 일단 이런 종류의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가장 높은 환경은 사용자 명 폴더가 한글일 때인 것 같다. 보통 프로젝트 파일 등이 생성되는 기본 경로에 사용자 폴더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은데, 경로에 한글이 있을 경우 에러가 발생할 확률이 매우매우매우 높아지는 것 같다.
만약 처음으로 돌아가서 세팅을 할 수 있다면, 일단 사용자 이름은 무조건 영어로 바꿀 것이다.
찾아보니 강제로 바꿀 수도 있다고는 하는데, 이미 수 많은 곳에서 참조하고 있을 사용자 폴더의 이름을 강제로 바꿨다간 돌이킬 수 없을 것 같아서 시도는 안 하고 있다.
반응형
'스파르타 이노캠 > 본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06. 26 월 - Springboot CRUD 기능 구현 (0) | 2023.06.26 |
---|---|
2023.06 본 과정 Week02 WIL - 알고리즘 문제 풀이/Spring 강의 (0) | 2023.06.25 |
2023. 06. 22 목 - 알고리즘 테스트 (0) | 2023.06.22 |
2023. 06. 21 수 - 실패율 (0) | 2023.06.21 |
2023.06.20 화 - 문자열 내 특정 문자열 대체하기 (0) | 2023.06.20 |